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하수처리장 5곳서 ‘코카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작성일24-05-30 23:06 조회0회 댓글0건

본문

전국 하수처리장에서 시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4년간 필로폰(메스암페타민) 등 마약류가 매년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필로폰의 사용 추정량은 줄고, 코카인은 늘어난 것으로 조사돼 국내에 유통되는 마약의 종류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9일 공개한 인스타 좋아요 구매 ‘하수 역학 기반 불법 마약류 사용 행태’ 결과를 보면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의 하수처리장 57곳을 비롯해 2020년부터 조사한 모든 하수처리장에서 필로폰이 검출됐다. 다만 마약류 농도를 통해 추산한 해당 하수처리장 구역 주민 1000명당 필로폰 일일 사용량은 2020년 24.16㎎에서 지난해 14.40㎎으로 매년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식약처는 부산대 환경공학과 오정은 교수팀 용역 연구로 2020년부터 17개 시도 선정 하수처리장의 물을 채집해 조사하고 있다.
필로폰 사용 추정량은 줄어드는 반면 코카인은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카인은 지난해 하수처리장 57곳 가운데 5곳에서만 검출됐지만, 인구 1000명당 전국 평균 사용 추정량이 2020년 0.37㎎에서 지난해 1.43㎎으로 계속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로 서울 등에서 검출되다 지난해 처음으로 세종 지역 하수처리장에서도 검출되는 등 지역이 다양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유럽·미국·호주 등 국가들과 비교하면 아직은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일일 사용 추정량을 살펴보면 필로폰은 경기 시화·인천, 암페타민은 충북 청주·광주, 엑스터시(MDMA)는 경기 시화·전남 목포, 코카인은 서울 난지·세종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만 지역별 추정량은 시료 채취 시기의 강수량이나 하수처리 구역 내 유동 인구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천영훈 인천참사랑병원 원장은 마약류 폐해 인식 실태조사 결과나 마약류 사범 수의 암수율(숨겨진 범죄 비율)을 고려할 때 이미 우리 사회의 불법 마약류 사용자가 만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2023년 마약류 폐해 인식 실태조사를 보면 국내 성인 100명 중 3명이 마약류 불법 사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천 원장은 코카인 사용 추정량 증가와 관련해 국내 유통되는 마약류 종류가 다양해지는 것이 우려된다며 마약류 중독 확산의 위험성과 사회적 손실을 고려할 때 하루빨리 국가적 차원에서의 예방, 교육 및 치료와 재활을 위한 인프라 확충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