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장애인은 못 가는 ‘무장애숲길’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작성일24-06-03 09:23 조회0회 댓글0건

본문

서울시와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가 28일 개최한 ‘서울의 무장애숲길 조성·관리 방향’ 토론회에서 보행 약자들의 숲 탐방이 가능하도록 조성한 무장애숲길이 취지와 달리 보행 장애인들을 위한 장소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보행 약자의 접근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자체들이 앞다퉈 무장애숲길을 조성하면서 지나치게 산림을 훼손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무장애숲길은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보행 약자들도 큰 부담 없이 산을 즐길 수 있도록 경사가 완만하게 조성된 덱형 숲길을 말한다. 나무 덱으로 숲길을 덮는 형태가 주를 이룬다. 서울에만 2011년 이후 39곳이 만들어질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이윤주 풀씨행동연구소 캠페이너는 보행 약자들이 무장애숲길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프라가 부족한 것을 문제로 꼽았다. 무장애숲길을 아무리 잘 만들어놔도 보행 약자들이 숲길에 접근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것이다. 서대문구 안산 자락길도 진입로 대부분에 계단이 있거나 턱으로 이뤄져 있다.
그는 숲길만 만들고 접근성은 고려하지 않아 산림만 훼손되고 교통 약자 아닌 이들을 위한 숲길이 되어버린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인 전윤선 한국접근가능한관광네트워크 대표는 인스타 좋아요 구매 보행 약자들이 무장애숲길에 가서 겪는 곤란한 점들을 소개했다. 전 대표는 간격이 넓은 배수구 덮개를 지나다 전동휠체어 바퀴가 부러져서 수리할 사람을 급하게 부른 일도 있다며 돌이 많은 길은 물론이고 흔히 깔려 인스타 좋아요 구매 있는 야자매트 구간도 수동 휠체어로는 지나기 힘든 때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 내 무장애숲길 11곳의 경사도 분포 현황 및 산사태 위험등급 분포를 확인한 결과 일부 구간이 산사태 위험이 매우 높음 또는 높음에 해당한다는 내용도 공개됐다. 기후재난이 점점 늘어나는 상황에서 시민 안전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나타난 것이다.
최근 조성되고 있는 은평구 봉산 무장애숲길은 생태경관보전지역을 침해하면서 공사가 진행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다른 무장애숲길들도 경사지에 덱을 설치하다 보니 불필요한 산림 훼손을 일으키고 있다는 논란에 휩싸인 곳이 인스타 좋아요 구매 많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